[시장분석] 실질금리 마이너스 시대 장기화 (Feat 연준 AIT)
2. 시장분석 2020. 8. 30. 05:29 |연준의 평균물가 목표제 도입의 의미
실질금리 = 명목금리 - 인플레이션
연준의 평균물가목표제는 실질금리의 장기 마이너스 시대 선언
주식투자 격언 : 실질금리가 마이너스일 때 주식에 투자하라!
소비지출 가격지수(PCEPI)가 2.5%에 도달시까지 주식 매력↑
하지만 10년물 국채금리 방향에 주의해야
이번주 금요일 제롬파월 미국 연준의장은 잭슨홀 미팅에서 연준이 평균물가 목표제(Average Inflation Target)를 도입한다고 공식 발표 하였다. 평균물가 목표제란 물가가 연준이 목표로 하는 인플레이션율인 2%를 조금 넘더라도 상당기간 금리 인상을 하지 않겠다는 의미이다. 물론 2%를 얼마나 오랬동안 용인할 것인지, 어느 정도의 폭까지 인상을 허용할지는 구체적으로 밝히지 않았지만 전임 연준의장이었던 자넷 옐런의 "고압경제"라는 말처럼 경제가 상당히 좋아졌다는 확신이 들 때까지 금리 인상은 하지 않을 것임을 확인해 준 것이라 판단된다. 이는 이미 그동안 여러 연준 이사들의 발언에 미루어 어느 정도 시장이 예측하고 있었지만 그럼에도 주식 시장에 상당기간 좋은 신호임에는 틀림없다.
장기 제로금리 유지가 중요한 이유는 이것이 실질금리의 장기 마이너스 시대를 의미하기 때문이다. 다시 말해 현금의 가치가 상당기간 계속 하락할 것이란 뜻이다. 실질금리는 명목금리(기준금리 또는 10년물 국채금리)에서 물가상승율 (CPI or PCEPI)을 뺀 값으로 이 값이 마이너스로 장기간 머물 경우 자산시장의 폭등이 나온 전례가 과거에도 많았다. 계산하는 방식에 따라 차이는 있지만 과거 데이터를 기준으로 가장 보수적으로 계산해도 미국의 실질금리는 -0.3%에서 -1.7% 사이에서 움직일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명목금리가 낮게 유지되는 한 모든 상품과 자산의 가격이 오를 가능성이 높은 것이다.
과거의 데이터를 살펴보면 이는 보다 명확해진다. 아래 그래프를 살펴보면 금융위기 이후 연준이 가장 중요하게 생각하는 지표인 **근원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 (Core Private or personal consumer expenditure price index)는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2011년말과 2018년을 제외하고는 2%를 넘은 적이 없다. 2%를 초과한 시기도 짧았고 폭도 크지 않았다. 이 Core PCE 지수가 고점을 찍었던 시점 미 연준은 금리를 올리거나 양적완화를 축소하는 등의 방향으로 대응했었고 그 때마다 주식시장은 큰 변동성을 나타냈다. 따라서 과거 사례를 볼 때 이러한 인플레이션 지표가 2.5%를 상당기간 넘을 가능성은 높지 않기 때문에 매우 오랜기간 저금리 상태가 지속될 가능성이 높고 이는 현금을 가지고 있는 사람은 계속 손해를 볼 수 밖에 없어 자산시장을 자극하게 되는 것이다.
** 개인소비지출 가격지수 : 쉽게 말해 같은 양의 소비를 함에 있어 필요한 지출금액 전년동기대비 비교하여 이 수치가 1% 증가했다는 것은 1% 만큼의 돈을 더 써야 했다는 뜻으로 물가상승을 가장 정확히 보여준다고 알려져 있다.
그런데 여기에도 함정은 있다. 실질금리가 마이너스가 되면 주식, 부동산, 원자재 등으로 돈이 몰리면서 채권의 수요가 감소하고 그렇게 되면 채권금리는 다시 상승(가격하락)하기 때문에 실질금리가 플러스로 돌아설 수 있다. 시장은 살아있는 생물이기 때문에 어느 한쪽의 작용이 지나치게 발생하면 이에 대한 반작용이 자연스럽게 생긴다. 즉 연준이 정하는 기준금리가 0.25%로 장기간 유지되더라도 미 재무부에서 국채 발행량을 지속 늘리거나 시장에서 채권에 대한 수요가 감소하면 채권 금리가 상승하게 되고 그러면 실질금리가 다시 +로 바뀔수도 있는 것이다. 현재 약 0.7%에 머물러 있는 미 10년물 국채금리가 1%를 넘게되면 연준이 양적완화를 늘려 흡수하지 않는 한 주식시장은 급반락 할 가능성이 크다. 따라서 우리는 주식시장의 상승을 즐기되 연준의 양적완화와 10년물 국채금리 그리고 물가지수를 언제나 유심히 관찰해야 하는 것이다.
그럼에도 불구하고 금융위기 이후 지난 10년간 미국 주식시장이 고공행진 할 수 있었던 이유는 실질금리가 장기간 마이너스에 머물렀기 때문이다. 물론 당연히 4차 산업혁명과 세일 혁명이라 불리는 미국 기업의 혁신이 동반되었지만 만약 돈이(유동성이) 없었다면 누가 주식을 살 수 있었겠는가?
아래 그림은 지난 10년간 미국 나스닥 100 지수와 S&P 500 지수의 연도별 수익율을 보여주고 있다. 현재 주시시장은 팬데믹 발생 이후 미 연준과 트럼프 행정부의 전광석화와 같은 대응으로 지난 2008년과 2009년의 장세가 한해에 일어나고 있는 것으로 보인다. 여기서 흥미로운 부분은 두 지수의 수익율이 안좋았던 2011년, 2015년, 2018년은 겉으로는 유럽재정위기, 미중 무역분쟁 때문에 고전한 것처럼 보이지만 알고 보면 정확히 인플레이션이 2%를 넘겼던 시기와 일치하고 있다. 시장은 언제나 인플레이션에 의한 연준의 행동에 대해 두려움을 가지고 있었던 것이다. 그런데 이번 위기로 연준은 과거보다 훨씬 더 인내심을 갖겠다고 공표해버렸다. 이 때문에 앞으로 자신 시장에 버블 발생은 필연으로 보인다. 단기 조정을 보이더라도 반드시 향후 몇 년간은 주식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다만 늘 10년물 국채금리와 Core 인플레이션 지표는 확인하고 있어야 한다.
'2. 시장분석' 카테고리의 다른 글
[시장분석] 향후 10년 어느 섹터에 투자할 것인가? (0) | 2020.09.24 |
---|---|
[시장분석] 차트로 보는 테슬라 주가 (0) | 2020.09.09 |
[시장분석] 버크셔 해서웨이 자사주 매입 분석 (~20.2Q) (0) | 2020.08.11 |
[시장분석] G7 국가 1등 기업은? (0) | 2020.06.20 |
[시장분석] 배당 증가 발표가 임박한 기업 (0) | 2020.01.03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