과거 10년이 미래 10년을 말하다 


지난 10년간의 기록으로 미래 10년 투자아이디어를 얻다. 


최근 S&P사에서 발표한 자료 중 금융위기 이후 10년간 주요 섹터별 변동성과 연평균 수익율을 보여주는 그래프가 있어 여기에 소개해볼까 한다. 이러한 트렌드는 코로나 이후로 오히려 더 강해질 것 같아 미래 10년을 내다보는 장기 투자를 생각하시는 분들은 반드시 참고해야 한다고 생각한다. 


□ 6개의 그룹으로 나누어 살펴보는 투자 아이디어 


먼저 아래 그림을 간단히 살펴보도록 하자. 



이해하기 쉽도록 그림에 나온 섹터들을 총 6개의 그룹으로 나누고 각 그룹별로 넘버링을 하였다. 각 그룹별 특징을 살펴보도록 하자. 


① 저 변동성, 고 수익율 그룹 


향후 10년간 투자해야하는 섹터에 대한 정답이 바로 여기에 있다. 소프트웨어 및 서비스, 의료장비, 의료서비스, 우주항공방위 섹터가 그 주인공이다. 재미있는 것은 여기에 S&P500 지수가 포함되어 있다는 점이다. 앞으로 10년 좋은 수익율을 얻고 싶은 분은 바로 여기에 투자하기 바란다. 요즘 미국 주식관련 많은 이야기와 투자 아이디어들이 범람하고 있지만 그냥 고민하지 말고 이 섹터에 투자하는 것이 단언컨데 최고의 수익을 안겨줄 것이라 생각한다. 특히 S&P 500지수를 사는 것이 가장 안전한 투자라는 것이 증명되는 그림이다. 


② 고 변동성, 고 수익율 그룹 


수익율은 높지만 변동성이 높은 섹터이다. 따라서 타이밍을 잘 잡아서(낮은 가격) 장기투자하고 시장이 마구 흔들려도 잘 버틸수 있는 멘탈이 강한분이라면 좋은 투자 섹터라고 생각한다. 반도체, 인터넷, 주택건설, 바이오 테크 관련 기업들이 여기에 속한다. 


③ 저 변동성, 중 수익율 그룹  


변동성이 낮은 반면 수익율은 중간 정도인 그룹이다. 보험, 통신 업종이 여기에 속한다. 보험은 상대적으로 수익율이 낮다고 보기는 어려운데 미국의 사립 의료보험들이 지난 10년간 랠리를 한 덕분이라고 생각한다. 따라서 앞으로도 이런 수익율을 유지할 수 있을지는 잘 모르겠다. 


④ 중 변동성, 중 수익율 그룹 


변동성 및 수익율 모두 전체의 중간정도에 위치하는 그룹이다. 제약, 운송, IT하드웨어, 소매, 금융(은행제외)등이 여기에 속한다. 물론 이들 섹터에서도 잘 고른다면 좋은 기업들이 많지만 전체적으로는 큰 재미는 없는 그룹이라고 생각한다. 


⑤ 고 변동성 저 수익율 그룹 


변동성이 높음에도 수익율이 낮은 그룹으로 은행 및 지방은행이 여기에 속한다. 금융위기 이후 장기간 저금리, 저성장이 이어지면서 주요 은행들의 수익성 정체가 영향을 미친 것으로 보인다. 은행은 장기 투자에 적합하지 않은 업종이다. 


⑥ 고 변동성, 마이너스 수익율 그룹 


앞에 살펴본 섹터는 지난 10년 평균 플러스 상승을 기록한 반면 여기에 속하는 섹터는 변동성도 높고 수익율도 오히려 마이너스를 기록한 업종들이다. 금속 및 금속채굴, 오일 및 가스 발굴 및 생산 섹터가 여기에 속한다. 앞으로 10년간의 투자에도 이들 업종은 배제하길 바란다. 



Posted by G.O.S
:


S&P 500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 규모 줄고 있지만 여전히 큰 규모 


2019년 2분기 자사주 매입은 전분기 보다 20.1%, 전년동기대비 13.7% 감소 

지난 1년간 S&P 500 기업의 25%가 발행주식수 4% 이상 감소 

2분기 자사주 매입과 배당 수익율을 합한 Total Return 5.43%로 10년물 국채의 3배 수준 

자사주 매입 → EPS 증가 → 배당 증가 → 주가 상승 이라는 선순환 구조 정착  

주주를 기업 경영의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하는 것이 주가 상승의 전제조건  


S&P 500 기업들의 2분기 자사주 매입 규모가 발표되었다. 자사주 매입은 금융위기 이후 미국 주식 시장의 장기 상승을 가능하게 한 가장 중요한 요인이다. 단기적으로는 주식을 매입하는 수요가 꾸준히 유입된다는 측면에서 중요하고 장기적으로는 주당 순이익(EPS)을 끌어올려 주가를 상승하게 하는 강력한 동인이라는 측면에서 더욱 중요하다. 따라서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은 관심있게 살펴 볼 필요가 있다. 


지난 2분기 S&P 500 기업의 자사주 매입 규모는 직전 1분기 보다는 20.1%, 전년 동기에 비해서는 13.7% 감소하였다. 자사주 매입이 가장 활발했던 2018년 4분기에 비해서는 무려 26.2% 감소하였다. 주가가 급격히 하락했던 2018년 4분기에 자사주 매입 규모를 늘렸다가 이후 주가가 차츰 정상화되자 그 규모를 줄였다고 추정할 수 있다. 하지만 절대적인 매입 규모 자체가 여전히 막강하기 때문에 단순히 자사주 매입이 줄고 있어 주가가 하락할 것이라고 판단하는 것은 옳지 않다.   


2018년 3분기 ~ 2019년 2분기까지 1년간 자사주 매입 총 금액은 $7,970억달러로 그 이전 같은 기간 대비 23.4% 증가하였다. 가장 중요한 부분은 이러한 자사주 매입의 영향인데, 자사주 매입을 실시한 기업의 25%는 발행주식수가 약 4% 이상 줄었으며 이로 인해 EPS 증가에 큰 기여를 했다는 사실이다. 최근 기업들의 3분기 실적이 시장의 예상보다 더욱 좋게 나오는 것은 지난 1년간 꾸준히 자사주를 매입하여 소각한 영향이 적지 않음을 데이터가 보여주고 있다. 



S&P 500 기업들의 자사주 매입과 배당수익율을 합한 Total Return은 2분기 기준 5.43%이다. 10년물 국채금리가 1.8% 정도인 것과 비교하면 월등한 수익율이다. 섹터별로 살펴보면 금융 부분의 Total Return이 압도적인데 연간 총 7.58%로 10년물 국채금리의 4배가 넘는 수익율을 주주들에게 환원하고 있다. 물론 자사주 매입은 직접적인으로 내 통장에 꽂히는 돈은 아니지만 기업 이익이 똑같다고 가정하면 줄어든 주식수만큼 주당 이익이 올라가고 그에 따라 주가가 올라갈 것으로 예상되기 때문에 시간이 지나면 자연스럽게 수익(자본차익)으로 돌아오게 된다. 금융섹터 이외에도 IT섹터와 에너지 섹터 역시 6% 넘는 수익을 주주들에게 환원하고 있어 투자 우선순위로 검토할만하다. 



자사주 매입 상위 20개 기업을 살펴보면 IT, 금융, 헬스케어 업종이 전체의 70%를 차지한 가운데 산업재, 임의소비재, 커뮤니케이션 업종의 일부 기업 역시 이름을 올리고 있다. 이번에도 역시 애플이 최고액을 기록한 가운데 JP모건, BAC등 미국 4대 은행도 꾸준히 Top 20 List에 올라오고 있다. 커뮤니케이션 섹터에 속한 구글(알파벳)과 페이스북 역시 자사주 매입을 꾸준히 실시하고 있다. 



아래 그래프를 보면 왜 미국 주식이 꾸준히 신고가를 경신하며 상승해왔는지 쉽게 알 수 있다. 물론 당연히 경쟁력을 잃지 않기 위해 혁신의 고삐를 당기는 미국 기업들의 노력이 가장 중요하겠지만 그것뿐 아니라 꾸준한 자사주 매입으로 주식 수를 줄이고 이로 인해 주당 순이익(EPS)을 더욱 증가시키고 증가한 주당 순이익만큼 다시 배당금을 인상하는 선순환 구조가 미국 주식시장의 장기 상승을 이끌고 있는 원동력인 것이다. 주주를 회사의 중요한 파트너로 인식하고 기업의 이익을 함께 공유하려는 노력이 주가 상승의 필요충분조건이며, 이를 실천하는 미국 기업들에 투자해야하는 이유이기도 하다. 




Posted by G.O.S
:


미국주식투자 ETF로 시작하기 ②


XLV (헬스케어 업종), XLI (산업재 업종), XLB (소재 업종), XLU (유틸리티 업종)


미국주식 업종별 대표 ETF를 알아보는 두번째 시간으로 지난번과 같이 스테이트 스트리트 자산운용에서 만든 X시리즈를 중심으로 헬스케어, 산업재, 소재, 유틸리티 등 총 4개 업종의 ETF를 살펴보도록 하겠다. 


□ XLV (헬스케어 업종) 


XLV는 올해 가장 많은 전문가들이 추천하는 업종인 헬스케어 업종 ETF이다. 총 자산규모는 193억 달러이고 존슨앤존슨, 유나이티드 헬스그룹, 화이저, 머크 등 세계적인 제약/바이오 회사를 다수 포함하고 있다. 현재주가기준 배당 수익율은 1.64%이다. 성장성과 경기방어적인 성격을 동시에 가지고 있다는 평가를 받는 업종이다. 



이와 유사한 ETF로는 뱅가드에서 운영하는 VHT와 블랙록에서 운영하는 IYH가 있다. 또한 헬스케어 서비스(요양, 간호, 병원 등) 업체에 투자하는 ETF인 XHS가 있고 의료장비업체(의료로봇, 주사기 등)에 투자하는 ETF인 IHI가 있는데 두 개 모두 고령화 시대에 함께 투자해도 좋은 ETF라고 생각한다. 


□ XLI (산업재 업종) 


가장 경기에 민감하게 반응하는 업종인 산업재 업종을 대표하는 ETF이다. 총 자산규모는 100억달러이며 보잉, 3M, 유나이티드 테크널러지, 록히드 마틴, 캐터필러, UPS 등 항공, 방위, 중장비, 운송업 등을 망라하는 유명한 기업들을 다수 포함하고 있다. 2018년 미중 무역분쟁 등으로 다소 어려움을 겪었지만 오히려 전세계적인 경기침체 우려로 미국과 중국 모두 다수의 인프라 투자를 계획하고 있다는 점에서 올해는 나아질 것으로 기대되는 업종이다. 현재 주가기준 배당 수익율은 2.08%이다. 



이와 유사한 ETF로는 뱅가드에서 운영하는 VIS와 블랙록에서 운영하는 IYJ가 있다. 또한 미국 국방비 증가 등으로 방위산업에 관심이 높은데 여기에 투자하는 ETF로 ITA가 있다. 이 ETF에는 보잉, 록히드마틴, 노스롭그루만 등 미국의 3대 방산업체가 포함되어 있어 매력적인 ETF라고 생각한다.  


□ XLB (소재업종) 


소재 업종은 작년 한 해 가장 부진한 업종 중 하나였다. XLB의 총 자산규모는 42억 달러이며 다우듀퐁, 인터내셔널 페이퍼 컴퍼니, 뉴몬트 등 화학, 소재, 광산 업체들을 포함하고 있다. 현재 주가기준 배당 수익율은 2.35%이다. 



이와 유사한 ETF로는 뱅가드에서 운영하는 VAW와 블랙록에서 운영하는 IYM이 있다. 


□ XLU (유틸리티 업종) 


대표적인 경기방어 업종인 유틸리티 업종을 포함하는 ETF이다. 전기, 가스, 수도 등 일상생활에 없어서는 안되는 필수적인 시설들로 경기침체, 호황에 상관없이 꾸준히 소비하므로 안정성은 높으나 성장성이 약해 보통 주식시장이 강할 때는 수익을 내기 어려운 업종이다. 총 자산규모는 87억 달러이며 현재 주가기준 배당 수익율은 3.3%로 고배당을 자랑한다. 


 

이와 유사한 ETF로는 뱅가드에서 운영하는 VPU와 블랙록에서 운영하는 IDU가 있다. 


□ 수익율 비교 


S&P 500 지수와의 수익율(63.5%)을 비교해 보면 헬스케어 업종 ETF인 XLV는 지난 5년간 약 82.6%의 수익율로 지수보다 아웃퍼폼하였다. 산업재 업종 ETF인 XLI는 66.3%의 수익율로 지수와 비슷한 수익율을 기록하였으나, 유틸리티 업종(XLU)과 소재업종(XLB)은 각각 41.3%, 33.8%를 기록, 모두 시장에 못미치는 수익율을 보였다. 헬스케어와 산업재 업종을 중심으로 포트폴리오를 구성하는 것이 좋을 것 같다. 물론 과거의 수익율이 미래의 수익율을 담보하는 것은 아니지만.....



Posted by G.O.S
:


아이폰 매출이 줄어도 애플의 이익은 늘어날 가능성↑  


아이폰 매출은 줄고 액세서리와 서비스 매출은 늘어 

특히 애플페이, 클라우드, 애플 뮤직 등 서비스 매출은 마진율이 높음 

중국시장의 판매부진은 위안화 약세 영향도 있어 

장기적으로 순현금 "0"를 위해 주주환원 강화 예상 


애플 주가가 지난 2019년 1분기 (회계연도 기준) 실적발표 이후 완만하게 상승하고 있다. 팀쿡 CEO가 연초 한 언론사와의 인터뷰에서 중국시장에서의 아이폰 판매량 감소를 언급하면서 폭락했던 주가가 다시 정상으로 되돌아가는 과정으로 보인다. 아이폰 판매량의 감소가 분명 좋은 시그널은 아니지만 스마트폰 보급률이 높고 교체주기가 길어지는 과정에서 어쩔 수 없는 나타나는 현상이라고 생각된다. 따라서 애플에 대한 투자는 아이폰의 판매감소 장기화는 기정사실로 보고 이를 회사가 어떻게 만회할지, 또한 그것이 가능할지를 따져보는 것이 무엇보다 중요하다고 할 수 있는데 이번 1분기 실적발표에서 조금이나마 그 가능성을 엿볼 수 있을 것 같다.  


먼저 1분기 전체 매출은 전년 동기보다 4.5% 감소한 $843억 달러를 기록하였다. 아래 상품별 매출 현황을 보면 아이폰은 전년 동기대비 매출액이 -14.9%를 기록한 반면 액세서리와 서비스 매출은 각각 +33.3%, +19.1%로 큰 폭 증가한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이러한 증가는 헬스케어 기능을 넣은 신형 애플 왓치가 좋은 반응을 얻었다는 것도 간접적으로 추정할 수 있다. 특히 헬스케어 부문은 애플 왓치 등의 하드웨어 판매를 넘어 추후 서비스 매출 확대에 기여할 수 있다는 측면에서 주목된다. 



애플의 서비스 매출 증가가 중요한 이유는 이익율이 월등히 높기 때문이다. 아래 제품과 서비스간 매출총이익율 (매출-직접원가, 판매관리비 미반영) 비교표를 보면 서비스 이익율이 제품의 이익율보다 거의 2배가량 높은 것을 확인할 수 있다. 아직 매출 자체가 전체의 13% 정도로 작아 이익기여도 자체가 높지 않지만 애플이 밝힌 전략대로 향후 전체 매출의 50%를 서비스로 채울 경우 현재보다 높은 이익창출이 가능할 것이라는 추정이 가능하다. 



중국시장에서의 아이폰 판매부진은 여러가지 이유가 있겠지만 위안화 약세도 영향을 미쳤을 것으로 추정할 수 있다. 실제로 달러-위안환율은 2018년 연초 6.3위안에서 2018년 하반기에는 6.9위안까지 상승했다. 가뜩이나 비싼 아이폰이 더 비싸게 팔린 이유이다. 특히 보급형 모델인 XR을 비싸게 사느니 차라리 안드로이드 제품 중 하이엔드급을 사는 것이 더 나은 선택이라고 생각할 수도 있지 않았을까? 다행히 최근 위안화 환율이 안정을 찾으면서 애플 입장에서는 프로모션 등 판매 강화를 위한 선택지가 조금은 더 넓어졌다. 2분기 이후 완만한 회복을 기대해 본다. 




<달러-위안 환율>


마지막으로 애플이 가진 순현금에 주목할 필요가 있다. 애플은 지난 몇년간 자사주 매입에 $2,473억달러를 쏟아부었음에도 여전히 $1,300억 달러에 달하는 막대한 순현금을 가지고 있다. 이번 실적발표에서 애플 CFO 루카 마에스트리는 여전히 순현금 "0"를 위한 주주환원을 지속하겠다고 밝혔다. 애플이 주주환원에 그렇게 많은 돈을 쏟아부었음에도 여전히 현금이 가장 많은 회사인걸 보면 왜 이 회사가 대단한지를 역설적으로 보여주는 것 같다. 주가가 더 오를지 말지는 모르겠지만 애플은 여전히 매력적인 기업이다. 



<애플 순현금 추이>



Posted by G.O.S
:


은퇴자산의 필수 아이템 : 리츠 (Reits)


리츠는 전세계적으로 연기금 등 인컴 투자자들의 필수 아이템

40년간 주식, 채권, 리츠의 수익율 비교시 리츠가 우세 

향후 고령화로 인해 노인요양시설, 병원 등 수요 급증 가능성 

안정적인 배당과 향후 수요급증에 따른 시세차익도 기대되는 헬스케어 리츠 주목 


리츠는 부동산 투자를 통해 배당과 자본 차익을 목적으로 설립된 부동산 투자 전문 회사를 말한다. 국내와 달리 미국에서는 이미 1980년대부터 리츠를 통한 부동산 투자가 활성화 되었는데 그 이유는 안정적인 배당 때문이다. 리츠는 법적으로 수익의 90% 이상을 반드시 배당해야 하며 그 대신 법인세 면제 및 양도세 과세 이연 혜택을 받는다. 따라서 비교적 안정적인 고배당이 가능하여 미국 주식 시장에 상장된 리츠 대부분은 연기금이나 여타 노후 자금을 운영하는 기관 등이 일정비율 이상을 편입하는 등 인기가 높은 편이다. 또한 전체 수익율 측면에서도 나쁘지 않다. 지난 40년간 주식/채권/리츠간 총 수익율을 비교한 아래 표를 살펴보면 리츠가 단연 선두에 서 있는 것을 확인할 수 있다. 다만 최근의 금리인상 환경은 조달비용(대출) 증가 측면에서 리츠에 그리 우호적인 환경은 아니다. 



오늘 소개할 사브라 헬스케어 리츠(Sabra Healthcare Reits)는 2010년도 뉴욕 증권거래소에 상장된 회사로 총 자산은 약 77억달러이다. 최근 미국 주식시장 침체에 따라 주가가 하락하여 연평균 배당(현재 주당 연간 1.8$) 수익율이 10%를 넘어가고 있다. 상장이래 꾸준히 배당금을 인상하고 있으며 포토폴리오 다변화를 통해 안정적 배당 성장을 꽤하고 있다. 여기서 잠깐 헬스케어 리츠를 설명하면 미국에 상장된 리츠는 대부분 특정분야 (예를들어 주택, 소매점, 창고 등) 부동산을 중점적으로 운영하는 경우가 많다. 이 중 헬스케어 리츠는 주로 노인주택, 요양원, 병원, 의료관련 시설에 주로 투자하는 회사이다. 향후 고령화시대로 노인 인구가 급증할 것으로 예상됨에 따라 추가적인 주가 상승과 안정적인 배당이 기대되는 분야이기도 하다. 



이러한 리츠 투자에 반드시 알아야할 개념이 AFFO (Adjusted Fund From Operation) 이다. AFFO는 회사의 총 수익에서 각종 운영 경비, 감가 상각비, 유지 보수비 등을 제외한 숫자이다. 쉽게 말해 일반 상장 회사의 주당 순이익(EPS)과 같은 개념이다. 배당의 재원이 되므로 AFFO가 꾸준히 증가하거나 최소한 안정적으로 배당 이상의 숫자가 나오는 회사가 우량한 회사인 것이다. 사브라 헬스케어는 AFFO가 배당보다 안정적으로 높게 유지되고 있으며, 회사 경영진도 IR을 통해 밝힌 바와 같이 향후 실적 전망에 있어서도 자신감을 가지고 있어 투자하기에 큰 문제는 없어 보인다. 



리츠는 중위험 중수익 상품으로 분명 리스크가 있는 투자 상품이다. 수익의 대부분을 배당하므로 지속 성장을 위해서는 (추가 부동산 투자) 주식을 추가로 발행하거나 은행대출 또는 채권발행을 통해 외부에서 자금을 차입 해야 한다. 물론 차입 이자보다 더 큰 수익을 올리면 문제가 없지만 지속적으로 금리가 올라가는 환경에서는 저금리로 차입이 어려울 수 있다. 때문에 회사의 신용도가 매우 중요하다. (조달 금리는 신용도에 의해 결정된다.) 이런 면에서 사브라 헬스케어는 비교적 우량한 BBB- 등급(투자등급)을 유지하고 있어 향후 성장을 위한 자금 조달에도 유리할 것으로 보인다. 현재의 주가 하락은 기회가 아닐까 싶다. 



Posted by G.O.S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