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째, 주식은 수익율 게임이 아닌 수익금 게임 

둘째, 선진국 시장의 기준은 주주를 대하는 자세  

셋째, 분산투자의 이유는 돈이 필요한 시점을 알지 못하기 때문 

 

그동안 수없이 많은 시장 등락을 거치며 저 나름의 주식투자에 대한 생각이 정리가 된 것 같아 공유합니다. 제 말이 다 맞는 것은 아니지만 몇년전부터 미국 주식시장을 꽤 깊이 봐오면서 느낀 부분이 있어 기록으로 남기고자 합니다.

 

첫째, 주식은 수익금을 늘리기 위한 시간 싸움 

주식투자에 타이밍은 없다는 말을 많이 합니다. 이말은 맞기도 하고 틀리기도 합니다. 하지만 장기투자자에게는 당연한 이야기 입니다. 시장에 소위 전문가들이라는 분들이 나와서 어떤 종목으로 300%를 먹었네 400%를 먹었네 하는 이야기를 들으면 왠지 나만 바보가 되는 기분이 들 때가 있습니다. 그러나 주식은 수익율을 높이 올리기 위한 것이 아니라 최대한 (내가 할 수 있는 한) 많은 주식을 사서 장기간 보유하는 싸움임을 끊임없이 되새길 필요가 있습니다. 아래 아마존 차트를 보겠습니다.

아마존을 2010년 $100불대에 사서 2017년 $1,000불에 팔았다면 7년만에 약 900%의 어마어마한 수익율을 기록했을 겁니다. 그러나 수익금은 $900이죠...하지만 2017년 $1,000에 사서 2018년에 $2,000에 팔았다면 1년만에 7년 동안의 수익금보다 더 크게 벌었을 겁니다. 수익율은 고작 100%이지만요... 물론 가격이 비싸져서 예전만큼 많은 주식(수)을 사지 못했을 가능성이 높지만 같은 주식수라 가정하면 수익금은 크게 차이가 없고 수익율은 현격히 차이가 납니다. 우리는 이를 통해 장기투자만이 시장에서 승리하는 유일한 비결임과 동시에 최대한 많은 주식을 사서 수익금을 극대화하는 것이 훨씬 중요하다는 사실을 발견할 수 있을 겁니다. 

둘째, 선진국 시장의 기준은 주주를 대하는 자세 

많은 전문가들이 한국이 MSCI 신흥국 지수에 편입되어 있는 것이 불합리하다고 말합니다. 외국인 투자자들 입장에서 신흥국 시장은 리스크가 높기 때문에 대규모 투자를 꺼리게 되고 이에 따라 한국시장이 저평가 받고 있다고 입을 모읍니다. 그러나 저는 이것이 너무나 당연하다고 생각합니다. 오랫동안 한국시장도 투자해왔던 저로서는 한국 시장은 너무나 불안합니다. 경영진의 중요한 의사결정 기준이 주주와 구성원이 아닌 대주주 일가이기 때문입니다. "동업하고 싶은 기업에 투자하라"는 말을 들어보셨을 겁니다. 이 말은 100% 맞는 말입니다.  그러나 경영진도 주주를 동업자로 여기고 있다는 확신이 있는 기업이어야 이말이 맞습니다. 쌍방이 서로 신뢰가 없는데 어떻게 동업이 되겠습니까?  중국 기업이 위험한 이유도 여기에 있습니다. 의사결정의 기준이 공산당이 되어서는 안됩니다. 주식이 자본주의의 꽃이라면 경영진에 대한 신뢰가 무엇보다 중요합니다. 

셋째, 분산투자는 돈이 필요한 시점에 손실(?)을 최소화 하기 위함임

주식투자를 할 때 분산투자하라는 이야기를 많이 들어보셨을 겁니다. 어느 정도의 포트폴리오 분산은 필수라고 생각합니다. 다만 그 이유가 수익율 때문은 아닙니다. 높은 수익율을 올리고 싶다면 성장성 높은 기업에 집중투자가 훨씬 유리합니다. 그러나 그럼에도 분산투자를 하는 이유는 알 수 없는 시장 붕괴에 있습니다. 시장이 무너지면 모든 주식이 하락합니다. 성장주라서 더 많이 빠지는 것도 아니고 가치주라고 덜 빠지는 것도 아니지만 약간의 차이가 날 수는 있습니다. 근데 만약 그런 시점에 돈이 너무 필요하다면 어떻게 할까요? 분명 위기가 지나면 더 많이 오를 성장주를 팔기는 아까울 수 있습니다. 이럴 때 포트폴리오에 가치주가 있다면 상대적으로 덜 하락한 섹터의 주식이 있다면 손실을 덜 보고 현금을 확보할 수 있게 됩니다. 시장은 늘 어떤 모습을 보일지 알 수 없기 때문이죠..지금 같이 주식시장이 좋음에도 일정부분 채권에 반드시 투자해야하는 이유입니다. 

 

이상 저만의 투자 원칙이었습니다. 각자 자신에 맞는 원칙을 세워보시길 바랍니다. 감사합니다. 

Posted by G.O.S
: